새소식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1과목

[데이터의 이해] 데이터와 정보

  • -

데이터 정의 

데이터는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이다. 

데이터는 단순한 객체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컴퓨터의 시작과 함께 자연과학 뿐만 아니라 경영학, 통계학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과거 추상적인 개념에서 기술적이고 사실적인 의미로 변화되었다. 

 

 

데이터의 특성 

존재적 특성 : 객관적 사실(fact, raw material)

당위와 특성 :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 (basis)

 

 

데이터의 유형 

정성적 데이터 : 언어 ,문자 

비정형/ 주관적 내용 / 통계분석이 어려움

정량적 데이터 : 수치, 도형, 기호

정형데이터 / 객관적 내용/ 통계분석이 용이함

 

 

암묵지 : 학습과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체화되어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지식을 말함, 공통화, 내면화

형식지 : 문서나 매뉴얼처럼 형상화된 지식 , 교과서, 비디오, DB, 전달과 공유가 용이하다, 표출화, 연결화 

 

 

데이터와 정보의 관계

💡DIKW

D (data) 데이터 개별 데이터 자체로는 의미가 중요하지 않은 객관적인 사실

예: A마트는 100원에 B마트는 200원에 연필을 판매한다. 

I (information) 데이터의 가공, 처리와 데이터간 연관관계 속에서 의미가 도출된 것 

예: A마트의 연필이 더 싸다. 

K (Knowledge)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정보를 구조화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분류하고 개인적인 경험을 결합하여 고유의 지식으로 내재화된 것 

예 : 상대적으로 저렴한 A마트에서 연필을 사야겠다.

W (wisdom) 지식의 축적과 아이디어가 결합된 창의적인 산물

예 : A마트의 다른 상품들도 B마트보다 쌀 것이라고 판단한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